파이썬에서는 기존에 사용했떤 C계열에서는 못봤던 슬라이싱이라는 개념이 있다 test = ["a", "b", "c", "d", "e", "f", "g"]print(test[2:5]) ['c', 'd', 'e'] 위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인데 리스트나 튜플에서 특정 index 구간을 반환시켜준다. 정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던 기능 들 중 하나이고 [시작 인덱스:종료 인덱스] 와 같이 쓰거나, [시작 인덱스:종료 인덱스:순회시 인덱스 증가치] 와 같이 쓰여서test[2:5:2] 와 같이 쓰면 2, 4 인덱스를 가져오는 방식으로 사용가능하다 (for 문법에서 쓰는 느낌처럼 사용 가능)추가로 종료 인덱스를 쓰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 목록의 끝까지, 시작 인덱스를 쓰지 않으면 처음부터, 증가치는..